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47

늘봄학교 유보통합 알아보기 그동안의 정부의 아이들의 양육에 있어서는 영유아에 집중을 하는 모습을 보여 왔습니다. 하지만 맞벌이 부부가 대부분인 현재에는 초등학생까지도 보살핌이 필요한 것이 현실입니다. 정부는 이 부분을 착안하여 늘봄학교라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시범단계를 거쳐 전국에 도입한다고 하는데 늘봄학교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례 1. 늘봄학교 2. 유보통합 1. 늘봄학교 개념 정규수업 외에 안전한 학교공간과 지역사회 다양한 교육자원을 연계하여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제공하는 종합적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늘봄학교 전국 확대 - 1학기 2,000개 초등학교, 2학기 모든 초등학교 운영을 목표로 합니다. - 2023년 8개 교육청 459교에서 늘봄학교 시범운영을 시작하였고 2024년 1학기 2,000개 늘봄학교를 .. 2024. 2. 16.
영아반 인센티브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임차비지원 출산율이 떨어짐에 대한 영향은 이미 지방도시에서부터 시작이 되었습니다. 어린이집의 아이들이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어린이집들의 폐업이 늘어날 수가 있어 국가에서는 영아반 인센티브라는 카드 꺼내 들었습니다. 또한 직장어린이집 설립이 어려운 중소기업에 대해서 중소기업이 어린이집을 위해 임차를 해주었다면 그 지원금을 보존해 주는데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례 1. 영아반 인센티브 2.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임차비지원 1. 영아반 인센티브 - 영아반 개설이나 유지 인센티브는 영아반 정원대비 현원이 부족해도 보육교사 인건비 지급이 가능한 수준의 추가 인센티브 지원을 해줍니다. 민간이나 가정 어린이집 0~2세 반 현원이 정원의 50% 이상일 경우, 정원대.. 2024. 2. 16.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확대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관리는 현 출산율 저하에 비춰볼 때 가장 중요한 업무 중에 하나라고 생각됩니다. 이번 정부에서도 기존의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관리 지원 프로그램의 범위 확대를 통하여 더 많은 지원을 줄려고 합니다. 지원 확대에는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목적 출산가정에 건강관리사를 파견 산모의 산후 회복과 신생아 양육을 지원함으로써 출산가정의 부담을 줄여주고 하는 것에 목적이 있습니다. 제공인력 산모와 신생아 방문서비스 제공인력 교육과정 이수자를 제공합니다. 지원대상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의 출산가구 * 지방이양사업으로 지자체 예산범위 내에서 150% 초과 가구에 대해서도 지원 가능합니다. 지원내용 -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관리, 신생아 양육.. 2024. 2. 16.
아이돌봄서비스 산모와 태아의 건강관리와 유지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자란 아이들의 지원에도 목이 마른 상태인데요. 이런 부모들의 바람에 부흥하기 위해 이번정부에서 내놓은 여러 정책 중 아이 돌봄 서비스의 확대가 있는 그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이 돌봄 서비스 지원내용 - 시간제 돌봄(12세 이하 아동) - 영아종일제 돌봄(36개월 이하의 영아) - 시간제의 경우 등하원 및 준비물 보조, 보육 및 놀이활동, 준비된 식사 및 간식 챙겨주기 등( 취학 전, 취학 후 구분, 1회 2시간 이상 이용, 연 지원시간 960시간 한도) - 종일제는 이유식 먹이기, 젖병소독, 기저귀 갈기, 목욕 등 영아 돌봄과 관련된 활동(건강, 영양, 위생, 교육등) 전반( 최소 월 80시간 이상 이용필요, 월 정부지원시간 200시간.. 2024. 2. 16.